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양육비선지급제
- 2025청년도약지원금300
- 무료법률상담소
- 국민내일배움카드
- 닌텐도스위치2
-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
- 버팀목전세대출
- 상하수도요금
- 에어컨청소업체추천
- 청년도약지원금
- 예비신혼부부청약
- 지역사랑상품권
- 미국비자인터뷰
- 신혼부부청약
- 햇살론 서민대출
- 문화누리카드
- 셀프에어컨청소
- 근로장려금
- 이사업체
- 공공임대주택
- 문화비소득공제
- 햇살론
- 평생교육이용권
- 청년월세지원
- 신혼부부 전세대출
- 청년내일저축계좌
- 출산장려금
- 에어컨청소방법
- 에너지바우처
- 소상공인정책자금
Archives
- Today
- Total
배부른경제소식
청년도약계좌 신청부터 해지까지 완벽 가이드 (이자·금액·조건 총정리) 본문
✅ 청년도약계좌, 진짜 혜택일까?
2025년에도 여전히 청년이라면 꼭 챙겨야 할 정부 혜택, ‘청년도약계좌’.
매달 70만 원까지 넣고, 5년 후 최대 5,000만 원+이자를 받을 수 있다면?
조건만 맞는다면 무조건 신청해볼 만한 제도입니다.
오늘은 신청 방법부터 조건, 이자, 해지, 일시납입까지 전부 정리해드립니다.
💡 청년도약계좌 기본 개념
구분내용
가입 대상 | 만 19~34세 청년 중 소득 조건 충족자 |
소득 요건 | 개인소득 3,600만 원 이하 +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 |
납입 방식 | 월 납입(2만~70만 원), 일시납입 가능 |
만기 | 5년 |
혜택 | 저축 장려금, 비과세 혜택, 이자 지원 등 |
📝 1.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✔️ 신청 기간:
- 2025년 상시 모집 중 (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)
✔️ 신청 방법:
- 청년도약계좌 전용 앱 또는 은행 앱 (국민, 신한, 농협 등)
- 공동인증서 준비 필요
- 신청 시 소득 증빙 서류 자동 제출 가능
🧾 2. 조건 확인 (자격 요건)
✅ 연령:
- 만 19세 이상 ~ 34세 이하
- 병역 이행 시 최대 6년까지 인정
✅ 개인 소득 요건:
- 전년도 총 급여 3,600만 원 이하
✅ 가구 소득 요건:
- 중위소득 180% 이하 (예: 3인 가구 기준 월 약 830만 원 이내)
💰 3.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 (금액 & 이자)
✔️ 월 최대 납입금: 70만 원
✔️ 만기 총 수령 예상액:
- 최대 약 5,000만 원 (원금 + 이자 + 장려금)
✔️ 정부 지원 방식:
- 소득 수준에 따라 매칭되는 장려금 차등 지원
- 이자 소득은 비과세 혜택 적용
📆 4. 일시납입 가능?
가능합니다!
청년도약계좌는 월 납입 외에도 일시납입이 가능합니다.
단, 매년 한도로 관리되므로, 연초에 미리 납입해두면 이자 수익 극대화 가능!
❗ 5. 중도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?
- 해지 시 장려금 미지급 또는 일부 환수
- 이자도 일부 불이익 발생
- 단, 취업 실패, 건강 문제 등 불가피한 사유는 예외 인정
✅ 청년도약계좌 이자 요약 (2025년 기준)
구분내용
개인 이자 | 내가 낸 납입금에 대해 가입한 은행의 정기적금 금리 적용 (보통 연 3~4%대) |
정부 기여분 | 매월 소득구간에 따라 정부가 추가 적립 (최대 월 40만 원, 총 1,440만 원 지원) |
총 수익률 | 5년간 최대 3,000만 원 + 이자 가능 |
실제 수령액 예시 | 월 70만 원 납입 시 총 수령액 약 3,200만~3,300만 원 수준 |
🧮 실제 예시 계산 (월 70만 원 납입 기준)
- 내가 낸 돈: 월 70만 원 × 60개월 = 4,200만 원
- 정부 지원금: 소득에 따라 다르나 최대 1,440만 원
- 이자 수익: 전체 금액에 대해 연복리로 약 3~4% 이자 → 약 300만 원 이상
📌 즉, 최종 수령액은 약 5,900만 원 이상 가능 (소득 조건 충족 시)
🧠 실사용 꿀팁 모음
- 신청 직후에는 가급적 월 최대 금액으로 시작하세요 (혜택 최대화)
- 중도해지 사유가 발생할 수 있다면 가급적 소액부터 시작
- 소득이 증가할 것 같다면 조기 신청 → 자격 소멸 전 확보
- 비과세 혜택은 반드시 만기까지 유지해야 적용됨
- 은행별 금리 차이 존재 → 가입 전 비교 필수
✅ 관련 링크
- [청년도약계좌 신청 (정부24)](https://www.gov.kr)
- [금융위원회 보도자료](https://www.fsc.go.kr)
- [서민금융진흥원원](https://obank.kbstar.com)
'💸 정부지원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문화누리카드 총정리! 사용처부터 온라인 신청·충전·재발급까지 (1) | 2025.07.13 |
---|---|
청년월세지원 3차 시작! 지원기간 총정리 (서울·부산 등) (0) | 2025.07.13 |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과 결과 준비 서류 총정리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7.13 |
청년도약지원금신청 방법! 50만원 받고 총 300만원 받는 (+꿀팁) (3) | 2025.07.12 |
전국민 소비쿠폰 신청 방법 기간 1인당 15만원~55만원 총정리 (0) | 2025.07.10 |